- 연구목적 및 연구의 필요성
(①연구목적 및 연구방향의 구체성, ②연구목적에 부합하는 방법의 타당성, ③연구결과의 학계 및 사회에 대한 기대효과)
- 연구내용의 독창성
(①연구 주제 및 내용, 방법 등의 독창성, ②연구 주제, 방법 및 설계 측면에서 참신성)
- 논지 전개의 논리성
(①논문적인 체제, 논지전개 방식의 논리성, ②언어학, 언어교육분야의 논문으로서 구성의 적합성)
- 연구방법의 적절성
(①연구 문제 제기, 가설 설정의 적절성, ②연구 설계 및 결과 분석 과정의 적절 성)
- 외국어 초록의 적절성
(①전반적인 논문 내용의 간결성 및 명확성, ②외국어 초록 표현의 정확성)
- 형식의 적절성
(①논문 투고 규정에의 부합도, ②문헌인용, 각주, 참고 문헌, 도표, 그림의 적절 성 등)
A (게재가): 내용이 매우 우수하며 수정할 사항도 적은 편임.
B (수정 후 게재):
① 내용이 우수하다고 생각되나 게재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됨.
② 내용은 보통 수준을 넘는 정도이지만 게재할 만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되며 수정할 사항이 많지 않음.
C (수정 후 재심):
① 내용은 좋은 편이나 상당한 폭의 수정을 해야 게재가 가능하다고 생각됨.
② 내용이 미흡하다고 생각되며 대폭적인 수정을 해야만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.
D (게재불가): 내용이 매우 미흡하며 수정하기가 어렵거나 수정을 해도 질적인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움.